SEO) 구조화된 데이터 (NextJS)
2022. 5. 11. 11:38
대용량 처리
목적 내부 사이트의 데이터를 더 잘 긁어가도록 주요 데이터를 봇에게 직접 제공 데이터 전달 방식이 여러개 있으나 현재는 구조화된 데이터로 전달 방식1 참고 GitHub - garmeeh/next-seo: Next SEO is a plug in that makes managing your SEO easier in Next.js projects. Next SEO is a plug in that makes managing your SEO easier in Next.js projects. - GitHub - garmeeh/next-seo: Next SEO is a plug in that makes managing your SEO easier in Next.js projects. github.com import ..
왜 프론트, 서버, 디비 분산해서 배포하는지
2021. 12. 1. 11:16
대용량 처리
적은 사용자, 개인용 프로젝트일 경우는 EC2에 3가지 넣어서 배포해도 상관없다 상용앱인 경우는 보통 나눠서 배포한다. 이유 1. 비용문제 유저가 프론트에만 접근해서 다 돌아갈 필요없는데, 전체가 돌아가게 된다 해당 부분만 돌아가게 나누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도 여러군데 나눠서 배포하는 이유도 이렇다 2. 안전성 문제 하나만 문제 생겨도 서비스가 마비된다. 예를들어 디비가 문제 생겨도 전체 서비스가 멈춘다. 3. 작업 문제 디비에 컬럼 하나만 추가해도, 모든 서비스에 영향을 준다. 문제 생길 것을 대비해 디비도 2개 만들어서 하나는 복사본 디비로 select만 하는 디비를 만들어 사용하는 회사도 있다 결론 분산하면 좋은점은 하나의 문제가 생겨서 안되면 다른 서버에 돌릴 수 있고 하나의 ..
라라벨)queue
2021. 11. 19. 10:22
대용량 처리
queue의 역할 100만건 이상의 데이터를 가지고 무언가를 처리할 때, 1. 대용량 처리를 위해, 잠시 저장하는 곳 큐테이블에 저장했다가 순서에 맞게 실행한다.(job) 2. 반드시 처리해야하는 task를 당장 처리할 수 없으니 남기는 것 queue 방법 https://laravel.kr/docs/8.x/queues 1. Job 클래스를 만든다. 2. 컨트롤러에 아래와 같이 적는다. // php GoJob::dispatch()->onQueue('name') dispatch를 통해서 명령한다. name을 통해 queue의 이름을 정한다.
대용량 처리
2021. 11. 18. 15:03
대용량 처리
mysql의 경우, 100만건을 처리할 수 있음 ex) select 할때 문제가 100만건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음 하지만, join을 할 경우, 기능이 안될 수도 있음 또한 MaxExcute 시간이 초과하면 에러처리가 됨 따라서 mongoDB가 좋음 qeue로 처리하면 실행하기 전에 경과를 남길 수 있음 맥스 익스큐트 시간때문에 대용량 처리위한 것 그 작업 시간 내에 여러번 큐에 넣어서 실패하면 다시 시도해 큐에 넣는 것은 지금은 안해도 되는 것 데이터는 있어야 하는데 queue에 넣어서 실행만 시키고, 작업은 따로 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