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humbnail image
Published 2021. 1. 27. 14:19
반응형

클라우드

클라우드 vs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비용:쓴 만큼 지불

확장성: 좋음

구축에 걸리는 시간:빠름

 

온프레미스

비용: 고정비용

확장성:용이하지 않음

구축에 걸리는 시간:직접 구축

 

컨테이너:EC2 instance -> VM(CPU, memory 늘어나는 걸 보고, 80% 넘긴다)-> EC2 증설

이미지:VM 에다가 운영체제 바로 까는 것?  image(ubuntu,AMI linux, windows)

 

docker

웹앱을 바로 배포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이미지를 바탕으로 컨테이너를 만드는 프로그램

내가 나의 앱을 담아서 이미지를 만들면, 즉시 배포 가능

 

내 앱이 깔린 이미지(내  앱)

노드 깔린 이미지(v15)

운영체제 이미지(alpine linux)

 

장점: 환경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장점

환경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배포했을 때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Saas, Paas, IasS

 

soft as a service

: office 365, adobe

platform as a service

:API 를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

infrastructure as  a service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빌드  테스트 자동화

환경분리 (.dotenv, config.json) -> git 에 올려놓지 않는다.

 

infrastructure as  Code

docker-compose  배포 과정을 마치 코드처럼 작성하는 방법

 

배포 공부 사이트

12factor.net/ko/

 

반응형

'git & 배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웹서버 쓰는 이유  (0) 2021.04.01
pm2  (0) 2021.03.20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