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Promise 실행함수가 가지고 있는 두 개의 파라미터, resolve, reject는 각각 무엇을 의미하나요?
- resolve - resolve(value) 을 실행해서 then에 전달
- reject - reject의 value값을 반환해서 catch에 전달
- resolve, reject함수에는 인자를 넘길 수 있습니다. 이때 넘기는 인자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 then을 통해서, reject를 통해서
- then을 통해서, reject를 통해서
-
new Promise()를 통해 생성한 Promise 인스턴스에는 어떤 메소드가 존재하나요
- then, catch,
-
각각은 어떤 용도인가요?
- Promise.prototype.then 메소드는 무엇을 리턴하나요?
- Promise.prototype.catch 메소드는 무엇을 리턴하나요?
- Promise의 세가지 상태는 각각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 대기 : 이행 또는 거부가 실행되기 전
- 이행 : 이행되고 then로 실행
- 거부 : 거부되고 catch로 실
- await 키워드 다음에 등장하는 함수 실행은, 어떤 타입을 리턴할 경우에만 의미가 있나요?
- await 키워드를 사용할 경우, 어떤 값이 리턴되나요?
반응형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명령어 (0) | 2021.03.23 |
---|---|
node.js 주요 특징 (0) | 2021.03.23 |
express , express-generator (0) | 2021.03.20 |
HTTP 메소드, 기능 (0) | 2021.02.03 |
병렬과 순차 promise VS promise.all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