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도메인 연결
2021. 4. 4. 23:30
git & 배포/Deploy(AWS 등)
레코드 이름에 www 이거나 빈공간 만들어서 2개 만든다 값에 퍼블릭 ip를 넣으면 된다

AWS) RDS
2021. 4. 2. 18:10
git & 배포/Deploy(AWS 등)
외부허용 퍼블릭 액세스 가능을 허용해야 외부에서 접속가능 호스트 엔드포인트에 추가 보안그룹설정 EC2 인스턴스가 접속할 수 있게 RDS 보안그룹에서 허용

AWS) pm2로 nest.js 실행, 멈추기
2021. 4. 1. 22:28
git & 배포/Deploy(AWS 등)
실행 pm2 start dist/main.js 멈추기 pm2 stop 0(id) 폴더의 파일과 함께 같이 삭제 rm -rf project/*

AWS) ssh 와 ec2 접속
2021. 4. 1. 21:20
git & 배포/Deploy(AWS 등)
ssh 방식 SSH에서는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인증과 암호화를 하게 됩니다. 비대칭키를 통해서 서버 인증과 사용자 인증을 하고, 대칭키(세션키)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 합니다. 관리자만 수정할 수 있게 chomod 700 700은 읽게만 하는 것 777은 읽고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것 ssh -i 는 pem 파일로 접속한다 우분투 사용자라서 'ubuntu@퍼블릭키' 추가 EC2 노드깔기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14.x | sudo -E bash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서버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