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06Vg1%2FbtrmQ3VYS9p%2FRozXpeJ4P729JWKuihkIn1%2Fimg.png)
프론트 폴더 구성
2021. 12. 3. 11:03
Frontend/프론트 라이브러리
components 레이아웃들 base_layout. header. footer pages 각 페이지 provider 공통적인 요소 search button 등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Kai4i%2FbtrmGhURuaw%2FRtTuvCxGANpzVEu0Og5qXK%2Fimg.png)
DNS) nslookup 사용법, cache(캐쉬)
2021. 12. 1. 21:42
Web/네트워크지식
nslookup란 도메인서버와 네임서버에 접근하는 방법 name 아래 주소는 name 도메인에 관한 주소의 아이피 주소 cache(캐쉬) 도메인네임을 조회하면 도메인서버에게 요청하고 아이피 주소를 받게 된다. 로컬은 조회한 것을 캐쉬라는 시스템으로 아이피를 저장해서 한번더 도메인서버에게 아이피를 요청할 필요 없게 한다.
왜 프론트, 서버, 디비 분산해서 배포하는지
2021. 12. 1. 11:16
대용량 처리
적은 사용자, 개인용 프로젝트일 경우는 EC2에 3가지 넣어서 배포해도 상관없다 상용앱인 경우는 보통 나눠서 배포한다. 이유 1. 비용문제 유저가 프론트에만 접근해서 다 돌아갈 필요없는데, 전체가 돌아가게 된다 해당 부분만 돌아가게 나누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도 여러군데 나눠서 배포하는 이유도 이렇다 2. 안전성 문제 하나만 문제 생겨도 서비스가 마비된다. 예를들어 디비가 문제 생겨도 전체 서비스가 멈춘다. 3. 작업 문제 디비에 컬럼 하나만 추가해도, 모든 서비스에 영향을 준다. 문제 생길 것을 대비해 디비도 2개 만들어서 하나는 복사본 디비로 select만 하는 디비를 만들어 사용하는 회사도 있다 결론 분산하면 좋은점은 하나의 문제가 생겨서 안되면 다른 서버에 돌릴 수 있고 하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