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 ( hover, focus, visited, active)
2021. 11. 29. 21:26
Frontend/HTML, CSS, DOM, jQuery
button:active { background-color: tomato; } button:hover { background-color: yellow; } input:focus { background-color: green; } a{ border-radius: 10px; padding:5px; background-color: yellowgreen; } a:visited { color: tomato; } a:hover { color: violet; } a:hover { color: blue; } form{ border: 1px solid salmon; display:flex; flex-direction:column; padding:20px; } form:focus-within{ border-color:s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JEykx%2FbtrmxlWn3x5%2FpMiDYXjXvjmm1KmpNecmX0%2Fimg.png)
DNS) Public DNS 서버
2021. 11. 29. 20:47
Web/네트워크지식
ISP (internet server provider) ex) sk, kt 등 인터넷 통신사 통신사에 따라 컴퓨터에 자동으로 특정 DNS 서버에 연결시킨다. 통신사는 DNS 서버에서 내가 어디에 접속하는지 다 기록할 수 있다. 개인은 통신사 모르게 DNS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방법이 퍼블릭 DNS 서버이다. Public DNS ex) 구글 public DNS server 사용자는 통신사 DNS 서버가 아니라, 퍼블릭 DNS를 설정하여 DNS 서버를 바꿀 수 이싿. average ISP는 통신사 DNS 서버로 속도가 가장 빠르다 네트워크 환결설정에 내가 사용하고 있는 DNS 서버 주소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1.1.1.1이면 cloudflare의 DNS 서버 1.0.0.1은 위에가 문제가 생기면..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kBP9%2FbtrmiFu9fI8%2Fnwv0kL3Dwbkp4QJJK27p71%2Fimg.png)
테스트 개발론
2021. 11. 29. 10:59
git & 배포/Test 개발
테스트 종류 TDD, DDD TDD는 개발 테스터베이스 유닛테스트 API를 만들면 자동으로 페이크 데이터가 만들어져서 API 테스트가 돌아간다. CI / CD CI는 배포되기 전에 테스트를 돌리는 것 제킨스같은 툴이 테스트를 돌려서 A,B,C 등의 경우를 따져서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배포가 되는 것이다. CD는 배포하는 것 라라벨, nest.js같은 프레임워크에서 테스트 기능을 제공한다. feature는 하나의 기능을 테스트 하는 것이고, unit은 코드 하나하나를 테스트 하는 기능이다.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dLDA%2Fbtrmru6regu%2FiHwXQ9dUbvv9xdJqzpsMo1%2Fimg.png)
DNS) 도메인 네임시스템 서버(DNS server), DHCP
2021. 11. 28. 23:41
Web/네트워크지식
DHCP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입니다. ...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에 자동으로 네임 서버 주소, IP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입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DNS Server) 서버는 자기의 아이피 주소를 도메인 네임시스템 서버에게 특정 도메인을 등록 하겠다고 요청 로컬 컴퓨터는 도메인네임시스템 서버가 자동으로 세팅되어있다.( DHCP로 인해) 따라서 로컬은 이미 도메인네임시스템 서버를 알고 있기에 도메인네임시스템에 이미 연결되어있어서 서버의 아이피 주소를 알 수 있어서 서버와 로컬컴퓨터가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DNS 서버를 이용한 컴퓨터는 모..